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NFT 정의, 대체불가능한 토큰 NFT 코인 미술 아트 음악 게임 크립토키티

by 허펜 2021. 5. 16.

안녕하세요:)

 

오늘은 NFT(Non-Fungible Token)에 대해서 알아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1. NFT 정의

NFT는 Non-Fungible Token의 약어로, 번역하면 대체 불가능한 토큰을 의미합니다.

도대체 '대체 불가능한 토큰'이 무슨 의미일까요?

저도 처음에 접했을 땐, '이게 무슨말이야?' 싶었는데 자료를 찾아보고 공부를 해보니 어떤 것을 의미하는지 조금씩 이해되기 시적하더라구요. 

 

NFT는 '희소성'을 갖는 디지털 자산을 대표하는 토큰을 의미합니다.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하지만, 기존 가상자산과는 달리 디지털 자산에 고유한 인식값을 부여해서 해당 디지털 자산이 전 세계에서 유일한 자산이 되는 것입니다.

 

디지털 콘텐츠에 별도의 고유한 인식값이 부여되면, 콘텐츠당 단 하나의 NFT만 존재하는 것이죠.겉보기에는 같은 콘텐츠로 보일 수도 있지만, 내재된 가치가 다르며 다른 토큰으로 대체하는 것이 불가능해요.

 

예를 들면, 철수가 아주 귀여운 포메라니안을 키우고 있고, 영희도 철수가 키우고 있는 포메라니안과 완전 비슷하게 생긴 포메라니안을 키우고 있다고 가정하면, 다른 사람들이 봤을 땐 두 강아지가 똑같아 보일 수 있겠지만, 서로 대체가 불가능합니다.

 

또, 영화관에서 영화를 보기위해 영화티켓을 구매했다고 가정합시다.A라는 영화를 보기위해 철수는 자기 개인정보가 포함된(나이, 성별 등) 영화표를 구매하였고, 영희도 자기 개인정보가 포함된 영화표를 구매하였다고 했을 때, 겉보기에는 철수와 영희의 영화표는 같고, A라는 영화를 각자 시청할 수는 있지만, 철수는 철수의 영화표로만 영희는 영희의 영화표로만 입장이 가능합니다.

 

 

2. NFT 적용사례(NFT 미술 아트, NFT 음악, NFT 게임)

아직 이해하기 어려우신 분들을 위해, NFT의 실 적용사례를 소개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①NFT 미술 아트

일론머스크의 아내 그라임스가 자신의 노래를 배경으로 깔아 디지털 그림(미술,아트)을 온라인 경매에 내놓았고

'신 창세기의 여신'이라는 이름을 가진 이 그림을 비롯한 디지털 퓨전 그림 10점이 무려 20분 만에 580만 달러에 판매되었습니다. (한화 약 65 억원)

 

그라임스라는 셀럽의 희소성이 이러한 가치를 만드는데 일조하였고, 또한 '유일성'이라는게 한 몫 한 것 같습니다. (아래 사진 및 기사 참조)

 

그리고 디지털 아티스트로 오랜 기간 활동해온 마이크 윈켈만(비플_Beeple)은 아래 '에브리데이스(Every Days)'라는 디지털 대작으로 NFT 사상 최고가인 6,934만 달러(한화 약 786 억원)에 수입을 올렸습니다.

이렇게 수요가 있는 것을 보면 향후 NFT 시장의 전망이 긍정적일 것 같습니다.

 

 

다만, 디지털 상품이기 때문에 실물이 존재하는 것이 아니며, 물리적인 그림과 파일을 받을 수 없습니다.

 

하지만, 그 상품/자산의 '원본 소유권'이 인정되기 때문에 '유일'하며, 이 소유권을 타인에게 판매할 수 있습니다.

만약, 내가 구매한 상품/자산을 제작한 원작자가 더욱 유명해진다면 그에 따른 상품/자산 또한 유명해지며 가격 상승을 기대해볼 수가 있다는 점에서 괜찮은 투자로 볼 수도 있겠습니다.

 

"이렇게 유명한 작가의 그림을 내가 원본으로 소유했다니!!" 이런 느낌으로 보시면 왜 NFT 상품이 가치가 형성되는지 이해하실 수 있을 것 같습니다.

 

②NFT 음악

국내 외 할것없이 많은 가수분들이 본인의 음원과 뮤직비디오 등을 NFT 마켓에서 판매를 하고,실제로도 수익을 올리고 있습니다.아래 기사에서 보시면 아시겠지만, 유튜브 등 음원 유통채널을 통해서 공개한다면, 모든 사람들이 비용을 들이지 않고 들을 수 있지만, NFT 마켓(플랫폼)에서만 판매/구매를 하게된다면 '복제가 불가능한' 자신만의 디지털 음원을 소유할 수 있어 희소성이 있습니다. (유명한 가수일수록 더욱 더 희소성과 가치가 높겠죠?)

 

그리고, 미국 록밴드 킹스 오브 리온(Kings Of Leon)은 옐로 하트에서 NFT 앨범을 출시했고,50달러의 가격에 고유의 인식값이 담긴 디지털 음원과 아트워크, 실물 음반인 LP를 제공했다고 합니다.

 

만약, 앨범을 100장만 한정판으로 판매한다면 고유의 인식값이 #1 ~ #100까지 될테고, 실제 소유자는 100명 밖에 나오지 않게 되는 것이죠.

 

③NFT 게임

NFT 게임의 대표적인 예로는 '크립토키티'(Crypto Kitties)가 있습니다.

크립토키티는 NFT게임의 시초라고 볼 수 있는데요, NBA Top Shot을 개발한 Dappers Lab의 초기 작품입니다. 2017년에 과연 NFT가 대중들에게 인기를 끌 수 있을지 테스트 차원으로 내놓은 게임이었는데, 이게 대박이 났습니다. (네트워크 마비) 

 

간단하게 게임을 설명하면, 생김새와 특성이 다른 고양이를 모으고 교배시키는 수집형 게임입니다.

특히, 외모가 이쁘고 귀여울수록 즉, 희소성이 있을수록 가치가 높습니다. 가장 비싸게 판매된 고양이는 '드래곤'이라고 불렸으며, 가격은 600이더리움(당시 2억, 현재 30억)에 판매되었습니다.

 

 

드래곤(600이더에 판매)

 

④NFT 기타 적용사례(NBA Top Shot, 디센트럴랜드(Decentral Land))

NFT의 다른 기타 적용사례인 NBA Top Shot과 디센트럴랜드(Decentral Land)를 소개해드리겠습니다.

NBA Top Shot은 NBA 선수의 슛 성공 장면을 영상으로 담아 판매하는 곳인데,Lebron James 선수의 덩크슛 영상이 무려 25만 달러(한화 약 2억 8천만원)에 판매되고 있습니다..

 

또, 디센트럴랜드(Decentral Land)라는 게임에서는 가상공간에서 부동산을 사고 판매할 수 있는데,

각 부동산마다 가치가 다릅니다. 현실 수도권에 아주 비싼 땅과 인적이 드문 지방의 저렴한 땅과의 가격차이가 나듯, 디센트럴랜드 게임 내에서도 동일한 현상을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

희소성이 있는 땅(Land)의 가격이 더욱 비싼 것이죠.

 

이렇게 오늘은 NFT에 대해서 다뤄보았습니다.

정말 해가 가면 갈수록 점점 더 세상이 빠르게 변화하고, 자칫 한눈팔면 따라가지 못할 정도로 급속도의 성장을 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앞으로 많은 공부를 해서 시대에 뒤떨어지지 않도록 해야겠어요:)

조금 조금씩 암호화폐, 가상자산에 대해 포스팅을 할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