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
오늘은 2023년 임산부 혜택에 대해 총정리한 내용에 대해 다뤄보겠습니다. 해를 거듭할수록 혜택이 더 좋아지는 것도 있는 반면, 줄어드는 것도 있어 많이 안타깝습니다. 최근 뉴스를 보니 한국 1인당 출산율이 0.78명 정도로 꼴등이더라구요...엄청나게 심각한 상황인데, 임산부 혜택이 점점 더 늘어나면 좋겠습니다.



◆2023년 임산부 혜택 총정리
1) 첫만남 이용권
첫만남 이용권이라고 다들 한 번쯤 들어보셨죠?
2023년 부터는 출생아 1명당 200만원을 국민행복카드의 바우처 포인트로 지급이됩니다.
쌍둥이면 400만원, 세쌍둥이면 600만원으로 적지않은 혜택이라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현실은 매우 부족..)
첫만남 이용권 사용기한은 아이의 첫 생일 이전까지입니다.
사용처는 온라인, 오프라인 모두 사용 가능하며, 유흥 또는 사행성 업종을 제외하고 어디에서든 사용할 수 있으니 사용범위가 꽤 넓어 유용할 것 같아요.
신청장소는 읍면동 주민센터에 방문하여 신청도 가능하고, 복지로 또는 정부24에서 온라인 신청도 가능합니다.(단, 온라인 신청은 보호자가 부모인 경우만 가능)
※출산지원금의 경우, 각 지역마다 있는 경우도 있고 기준이 상이하므로 '아이사랑' 홈페이지에 접속해서 조회해보시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2) 국민행복카드 임신 지원금 바우처
임신바우처제도라고 다들 들어보셨죠? 모든 임산부들이 알고 계실텐데, 혹시 모르시는 분 또는 남편들을 위해 소개해드리겠습니다. 국민행복카드 임신 지원금 바우처이며, 나라에서 임신과 출산, 양육의 어려움을 덜어주기 위해 일정 금액을 지원해주는 제도입니다.
바우처 지원금은 단태아 100만원, 다태아 140만원입니다.
사용기간은 출산일 이후 2년까지이며, 사용범위는 모든 진료비와 2세 미만 영유아의 진료비, 약제 구입비로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은행, 카드사에서 발급이 가능한데, 발급처 마다 카드 혜택이 다르니 비교해보고 가입해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3) 임산부 교통비 지원 및 교통비 할인(KTX,SRT,공영주차장)
①교통비 지원 서울, 경기 여주
현재, 임산부 교통비 지원은 서울과 경기도 여주를 제외한 나머지 지역에서는 시행하지 않고 있습니다. 서울을 기준으로 설명드리면, 지원금액은 1인당 70만원이며, 신청일 기준 6개월 이상 서울에 거주하고 계신(주민등록을 둔)임산부가 대상이며, 임신 3개월(12주)부터 출산 후 3개월까지 해당한다고 합니다.
사용처는 대중교통(버스,택시,지하철), 자가용 유류비까지 가능합니다.
신청은 정부24에 '맘편한임신'에서 신청 가능하며, 주민센터에 방문신청도 가능합니다.
※경기도 여주는 총 30만원 범위로 지원합니다.
②교통비 지원 타 지방
부산시는 '마마콜'이라는 서비스로 택시비를 65% 할인된 금액으로 사용가능하며, 월 2만원 한도입니다.
대전시는 택시비를 지원하고(대전교통약자 이동지원센터), 월 4회 바우처, 2만원 한도입니다.
대구시는 '해피맘콜'이라는 서비스로 택시비를 지원하고 이용금액의 70%를 캐시백 해주며, 월 2만원 한도입니다.
밀양시는 엄마랑 아가랑 교통비 지원카드가 있고, 10만원 상당의 교통카드를 지급합니다.
울산시는 울주군 난임 부부에 대해 진료 교통비를 지원하고, 1회당 5만원 최대 10회 지원합니다.
부여군은 출산가정 분만 교통비를 지원하고, 한 가구당 10만원을 지원합니다.
신청은 정부24 또는 주민센터에서 신청 가능합니다.



③KTX, SRT 할인
임산부는 KTX와 SRT 이용 시, 일반석 요금으로 특실 좌석을 구매하실 수 있습니다. 동반 1인까지 가능한 혜택으로 자주 이용하는 분들에게는 꽤 훌륭한 혜택으로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좌석이 넉넉하지 않기 때문에 미리 예약을 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보건소에 가셔서 임산부 등록하실 때, 보건소 직원께서 KTX, SRT 모두 등록을 해주십니다.
④공영주차장 할인
임산부는 공영주차장을 무료로 이용하시거나, 할인이 적용되는 지역이 있습니다.
보건소에 방문하셔서 임산부 등록을 하시면, 임산부 스티커를 주는데 차량에 부착하시면 혜택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출산 후에도 6개월까지 사용이 가능해서, 좋은 혜택인 것 같아요.
서비스 지역은 정부24에서 확인이 가능합니다.



4) 임산부 친환경 농산물 꾸러기
제가 거주하고 있는 경기도에서는 다행히 임산부 친환경 농산물 꾸러기 지원사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다른 지역은 폐지ㅠㅠ)
연간 48만원까지 쇼핑이 가능하고, 자기부담금 20%만 결제하시면 됩니다.
23.1.1 ~ 23.2.28까지 신청기간이라 지금은 신청이 불가합니다ㅠㅠ
예전에는 선착순으로 진행되었는데, 지금은 추첨제로 변경되었다고 하니 신청하신 분들은 결과를 기다리시면 됩니다 :) Good Luck!!
신청방법은 에코이몰에서 신청이 가능하고, 주민센터에서도 신청이 가능하다고 하니 2024년도에 신청하실 분들은 참고해주세요.
5) 임산부 부모급여, 아동수당
임산부 부모급여 지원대상은 만 0~1세, 출생후 23개월 까지입니다.
지원금의 경우, 만 0세는 월 70만원이며, 만 1세는 월 35만원입니다.
※2024년부터 각각 70만원 → 100만원, 35만원 → 50만원으로 소폭 상승합니다. (다행입니다ㅠㅠ)
현금이 아닌 바우처로 지급됩니다 :)
임산부 아동수당은 만 8세 미만 아동(0~95개월)의 양육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지원하는 제도입니다.
지원금의 경우 월 10만원입니다. (소득 상관X)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