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7월 17일 ~ 7월 18일, 이틀간 에이엘티 공모주청약이 진행되었고, 저는 운이좋게도 균등배정으로 1주를 배정받았습니다. 에이엘티 주식 상장일은 7월 27일(목) 입니다. 에이엘티 회사의 기업정보 및 전망과 주식상장 후 매도 시 예상수익률이 어떨지에 대해 한 번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도록 하겠습니다.
1.에이엘티 기업정보
에이엘티 ALT 기업정보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에이엘티 ALT는 비메모리 반도체 후공정 중 프로세스 테스트를 주력 사업으로 진행하고 있습니다. 비메모리 반도체의 경우, 전기차, 자율주행차, AR(가상현실), 로봇, IOT, 인공지능 등 다양한 유명분야에 활용되는 제품입니다. 또한, 후공정 테스트를 통해 우리나라의 시총1, 3위인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와의 안정적인 파트너쉽까지 생각할 수도 있을만큼 에이엘티의 성장이 기대가 되는 것도 사실입니다.
차별화된 기술력, 안정적인 파트너쉽, 견조한 재무성과를 볼 때 에이엘티 ALT는 비메모리 반도체 후공정 테스트의 선도기업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실제로, 에이엘티의 청약경쟁률의 경우 2512.15대 1로 올 들어 공모주 청약 중 역대급의 경쟁률을 자랑하고 있는 만큼 많은 사람들의 관심을 받고 있는 에이엘티 공모주 입니다.
요새 반도체 성장 꺾임이 진행중에 있지만, 에이엘티 ALT의 영업이익은 매년 증가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아래의 에이엘티 ALT 매출액, 영업이익, 당기순이익을 보시면 2020년부터 2023년 1분기까지 지속적으로 성장중이라는 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에이엘티에서는 차별화된 기술력으로 반도체테스트, 반도체후공정테스트 기업으로 자리를 확고시키겠다는 계획을 가지고 있고,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상품인 반도체 생산과 함께 성장하는 귀추가 주목됩니다.
2. 에이엘티 수요예측 및 예상수익률, 전망
에이엘티 수요예측과 예상수익률, 전망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에이엘티 공모주청약 최종 경쟁률의 경우 2512.15대 1로 역대급 경쟁률을 보였습니다. 청약증거금의 경우 약 7조654억원으로 집계되었고, 청약 건수는 약 47만 8,149건 입니다. 지난 14일 진행했던 뷰티스킨 공모주의 경쟁률이 2216대 1로 올해 최고 경쟁률을 기록하였는데, 그 자리를 바로 에이엘티가 꿰찼습니다. 또한, 공모주청약 가격제한폭이 기존에는 최대 260% 였는데, 최대 400%로 확대되면서 공모주 청약 흥행이 지속되고 있습니다.
- 청약일 : 7월17일 ~ 7월18일 (종료)
- 기관경쟁률 : 1,835.71 : 1
- 의무보유확약 : 16.1%
- 공모가 : 25,000원
- 주관사 : 미래에셋증권
- 최소청약수량 : 10주(증거금 : 125,000원)
에이엘티의 공모가 희망밴드는 16,700원 ~ 20,500원이었는데, 수요예측 결과 25,000원 이상 제시한 비율이 88.5%로 아주 높았습니다. 그래서, 결국 최종 공모가는 25,000원으로 결정되었습니다. 에이엘티는 공모자금계획을 발표했는데, 제2공장 용지 구입비로 10억, DDI WAFER TEST CAPACITY 확장으로 65억, 기타설비 증설로 70억, 제2공장 건축 자금으로 70억을 사용할 계획이라고 합니다.
에이엘티 공무주의 예상수익률 및 전망에 대해 개인적인 의견을 말씀드리자면, 위에서 살펴봤듯이 에이엘티의 영업이익률은 2020년 23.1%, 2021년 13.4%, 2022년 18.1%, 2023년 1분기만 해도 벌써 28.9%입니다. 이렇게 높은 영업이익률을 지속적으로 이어가고 있다는 점에서 주식상장일 당일 높은 수익률이 기대되는 것이 사실입니다. 특히, 현재 공모주청약 가격제한폭이 최대 400%로 확대되었기 때문에 400%까지 욕심을 내볼 수 있다고 생각이 들지만, KDB산업은행의 CB 물량으로 인한 주가변동이 우려되는 것도 사실입니다. 산업은행이 전환할 수 있는 주식수량은 총 47만588주로 전체 상장예정 주식 수의 5.25%에 해당하므로 적지않은 물량과 금액입니다.
그래서, 에이엘티의 경우에도 필에너지와 유사한 가격흐름을 보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큰폭으로 상승했다가 큰폭으로 하락하는 그림을 보일 수도 있습니다. 필에너지의 경우 14일 공모가인 34,000원에서 장중 132,000원까지 상승하였다가 종가 기준으로는 약 237% 상승하여 마무리를 하였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