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요즘 미국 연준의 금리인상과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등으로 인해
주식과 코인 시장이 정말 바닥을 달리고 있어 모두가 힘든 상황입니다.
하지만, 이럴수록 객관적으로 시장을 바라보고, 뚜렷한 주관을 가지고 투자를 해야한다고 생각합니다.
저의 경우, 회사에 입사하면서 개인연금으로 연금저축보험에 가입되었는데요
얼마전, 연금저축펀드로 계좌이전을 진행하였습니다.
그 이유는, 연금저축보험 수익률이 정말 저조하였기 때문인데요(4년에 수익률+1% 미만...)
물론, 현 상황에 비추어보면 +1%면 나쁘지 않은 수익률로 볼 수 있지만,
20년, 30년이상 회사를 다닌다는 가정하에 +1%면 정말 너무나 낮은 수익률입니다.
실제로, 코로나와 연준 금리인상, 전쟁 등 상황이 악화되기 한참 전 연금저축펀드로 계좌이전하신
선배님들의 계좌를 보면 연금저축펀드 개인연금 계좌 수익률이 +10% ~ +20% 이상을 기록하고 계신
분들도 정말 많습니다.
반면, 연금저축보험을 계속 유지했던 선배님들은 +5%도 채 되지 않더군요...
이를 계기로 저도 빠른 시기에 연금저축펀드고 계좌이전을 결정한 것 입니다.
그럼, 욕심부리지 않고 최대한 안정적인 수익률을 얻기 위해서는 어떤 종목에 투자를 해야될까요?
물론, 정답은 없습니다!
□ 연금저축펀드 ETF 포트폴리오 구성 추천
안정적이면서 수익률을 극대화 하기 위해서는 개인적으로 미국 ①S&P 500과 ②나스닥지수를 추종하는
ETF를 꾸준히 매수하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라고 생각합니다.
1. 미국 S&P 500 추종 국내ETF (TIGER 미국 S&P 500)
국내 ETF 중 미국 S&P 500을 추종하는 ETF는 여러개 있지만, 그중에서도 규모가 가장 크고(약 1.5조),
운용보수가 상대적으로 적은(연 0.07%) 미래에셋자산운용사의 TIGER 미국 S&P 500이 좋은 것 같습니다.
물론, 거래량도 타 국내 ETF에 비해 많습니다.
최초 상장일은 20년 8월 7일로 그렇게 오래되진 않았지만, 실제 미국 S&P 500 ETF(예. SPY)와
트렌드는 거의 동일합니다.
- 구성종목
구성종목을 살펴보면,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아마존, 구글, 테슬라 등 누구나 한 번쯤은 들어본 미국 기업들로
탄탄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S&P Dow Jones Indices에서 발표하는 “S&P 500 지수”를 기초지수로 하는 상장지수투자신탁입니다.(환헷지 X)
- 분배금(배당금)
TIGER S&P 500 ETF의 분배금은 매 1월, 4월, 7월, 10월의 마지막 영업일 및 회계기간 종료일 기준으로 지급합니다.
분배금 지급현황을 살펴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다행히 조금씩 상승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현재 주당 40원을 분배금으로 지급하고 있습니다.
정기변경은 연 4회(매 3월, 6월, 9월, 12월) 이루어지고 있으며, 미국 주식시장에 상장되어 거래되는
시가총액 최상위 500 종목을 투자하는 것이므로 장기적으로 투자한다면 이보다 좋은 투자종목은 없다고 생각합니다.
현재 TIGER 미국 S&P 500의 차트를 보면, 나름 꾸준히 우상향 중인것을 알 수 있습니다.
10년, 20년 뒤의 그래프가 정말 기대됩니다.
2. 미국 나스닥 추종 국내ETF (TIGER 미국 나스닥 100 또는 KINDEX 미국 나스닥 100)
국내 ETF 중 미국 나스닥 100을 추종하는 ETF도 여러개 있지만,
그중에서 미래에셋자산운용사의 TIGER 미국 나스닥 100 또는 한국투자신탁운용의 KINDEX 미국 나스닥 100에
투자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저는 지금 TIGER 미국 나스닥 100에 투자하고 있는데, 그 이유는 미국 나스닥 추종지수 중 가장 오래된 ETF이며,
규모 또한 약 2조 정도로 가장 크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가장 안정적인 ETF라 생각되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1주당 가격이 다른 ETF에 비해 비싸기 때문에(약 6배 차이) 이렇게 변동성이 심한 시장에서는
KINDEX 미국 나스닥 100 ETF가 좀 더 적합한 것 같습니다.
*22년 5월 15일 기준 : TIGER 미국 나스닥 100 69,430원 ↔ KINDEX 미국 나스닥 100 11,930원
아래 구성종목과 분배금 관련해서는 제가 지금 투자하고 있는 TIGER 미국 나스닥 100 기준으로 설명드리겠습니다.
- 구성종목(TIGER 미국 나스닥 100)
구성종목을 살펴보면,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아마존, 구글, 테슬라, 엔비디아 등 앞서 설명드렸던
TIGER 미국 S&P 500 ETF와 구성종목이 비슷하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하지만, 완전히 동일하지는 않기 때문에 S&P 500과 나스닥 100을 적절한 비율로 투자하는 것이
안전하고 효율적인 투자방법이라 생각합니다.
물론, S&P 500 ETF에만 몰빵해서 투자하시는 분도 적지 않은데, 이또한 괜찮은 방법이라고 생각하지만,
S&P 500 보다 나스닥이 상승장에는 조금 더 급격한 상승이 있기 때문에, 조금 욕심이 있으신 분들은
S&P 500과 나스닥을 함께 매수해 나가시는것이 좋은 투자 전력이라 생각합니다.
- 분배금(배당금)
TIGER 미국 나스닥 100 ETF의 분배금은 매 1월, 4월, 7월, 10월의 마지막 영업일 및 회계기간 종료일 기준으로
지급하며, TIGER 미국 S&P 500 ETF의 분배금 지급일과 동일합니다.
분배금 지급현황을 살펴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분배금이 들쭉날쭉한데, TIGER 미국 S&P 500 ETF보다 1주당 가격이
비싸기 때문에 당연히 분배금은 많습니다.
현재 주당 90원을 분배금으로 지급하고 있습니다.
저는 현재 약 1,000만원 정도 연금저축펀드 계좌에 들어있는데,
약 400만원 정도만 매수를 진행한 상황입니다. (S&P 500 : 나스닥 100 약 6:4 비율로 투자 진행중)
나머지 600만원은 상황을 조금 지켜보며 분할로 매수를 진행할 계획이며,
S&P 500 비중을 8까지 끌어올려 조금 더 안정적인 투자를 진행할 계획입니다.
다만, S&P 500과 나스닥 100 이외에도 다른 투자상품이 없는지 지속적으로 발굴해나가고 있으며,
저의 포트폴리오가 변경될 경우 공유하는 포스팅을 또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모두 성공적인 개인연금을 위해 화이팅입니다!
※투자에 대한 책임은 전적으로 투자하는 '본인'에게 있습니다.
공부하시고, 확실할 때만 투자하시기 바랍니다.
댓글